티스토리 뷰

로보어드바이저는 '로봇(Robot)'과 '투자전문가(Advisor)'의 합성어입니다. '자산관리봇' 이나 '자산관리 인공지능'이라고도 하지요. 알고리즘과 빅데이터를 이용해서 사람 대신 포트폴리오 관리를 해주는 서비스를 말하지요. 요즘 은행 앱을 살펴보면 로봇이 투자를 대신하는 펀드도 많습니다. 로보어드바이저가 운영하는 펀드가 사람이 하는 것에 비해 수익률이 높다는 것도 장점이기도 하지요. 오늘은 로보어드바이저에 대해 알아봅시다.

 

로보어드바이저의 장점과 단점

 

로보어드바이저는 직접 만나지 않아도 온라인으로 투자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주기 때문에 개인 맞춤이 가능합니다. 또 수수료도 저렴하지요. 이렇게 사람이 아닌 로봇을 이용하게 된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 고도화된 사회에서 수많은 정보와 그에 따른 변수를 사람이 전부 알고 컨트롤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입니다. 하루 동안에도 수많은 일이 일어나는 요즘 사회에서는 어쩔 수 없는 일이기도 하죠. 또 사람은 하락장이나 상승장에서 감정에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자신의 컨디션에 따라 실수를 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것을 '휴먼에러'라고 하는데, 로봇은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지요.

물론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단점도 있지만 결국은 선택의 문제가 아닐까 합니다. 

 

둘째, 로봇을 쓰는 것이 사람보다 비용이 절감됩니다.  

처음 로봇을 만들기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지만 일단 완성되고 나면 추가 비용은 거의 필요하지 않습니다. 회식을 할 필요도 없고 복지도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 때문에 로보 어드바이저가 운영하는 상품은 수수료가 저렴합니다.

 

 

최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들도 로보어드바이저를 자체 개발하거나 전문 기업과 협업하는 중이라고 합니다. 대신증권의 '대신 로보어드바이저'와 NH투자증권의 'NH로보EMP자산배분', 키움증권의 '키우 GO'는 모두 증권사가 개발해 운용하는 서비스입니다. 

댓글
공지사항